반응형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TestFlight에 올린 앱이 크래시가 났을 경우!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Xcode를 통해 Debug를 하면 오류가 나지 않지만,이상하게 TestFlight에만 올리면 앱이 죽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 대체 왜이래 학씨 )이럴때! 활용하면 좋은 방법이 있는데요!바로 가보시죠.Organizer 를 통해 앱 크래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상단 필터를 통해 내가 앱 크래시 나는 앱 버전을 설정할 수 있고,실제로 어떠한 로직 부분에서 앱 크래시가 발생했는지도 알 수 있다. 적색 부분을 더블 클릭 시,Xcode의 해당 부분으로 바로 열리게 된다.감사합니다.참고https://www.avanderlee.com/xc..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요즘 AI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Python 을 자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프로젝트 마다 각기 다른 모듈 버전을 사용하고,각기 다른 파이썬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venv 를 통해 프로젝트 마다 버전 관리를 해왔습니다. 하지만..이상하게 venv 쓰다보면 Python 과 pip 경로가 homebrew로 자꾸 잡히다보니 오류가 발생하여,찾다보니 pyenv에 대해 알게되었고 이 부분에 있어서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1. pyenv 란?상단 이미지처럼 pyenv 는 Global Local Shell 각 위치에 Python 버전을 구분해서 사용 할 수 있다.shell > local > global > system(Homebrew) 우선 순위로 적용된다.예를 들..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AI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MCP( Model Context Protocol ) 라는 용어를 듣게 되었습니다! ( MCP..? 그게 뭔데 먹는건가 )처음 듣는 용어이다 보니 공부를 하면서 느꼈던 내용과 실습 과정을 블로그에 남겨보려고 합니다!1. MCP 란?어플리케이션이 LLM에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개방형 프로토콜 이게 무슨 소리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ChatGPT, Claude AI 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 ( LLM ) 은"언제(When) 어디서 (Where) 어떤 (What) 정보를 참고하는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입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MCP 입니다. 쉽게 말해모델이 어떤 맥락..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어느날!개발 앱을 테스트 플라이트에 올려 테스트를 하려고 했습니다.근데..! 올렸는데도 정작 테스트 플라이트 앱에서는 업데이트가 안뜨더라구요..🥲왜 그럴까... 생각을 했는데🤔 바로.. 그룹 추가가 안되어 있더라구요.. ( 내부 테스트가 포함된 그룹 )이러한 상황을 남기기 위해 글을 작성했습니다!1. 문제 상황여러분.. 274 버전만 그룹이 추가 안되어 있는거 보이십니까!!!아오... 이걸 해결을 하려고 이 짓 저 짓 다 해봤습니다 ㅎ.ㅎ그룹 추가를 눌러 시도도 해보고..특정 버전(274)를 눌러 추가도 해보려고 했지만..비활성화..🔥 ㅠㅠ 2. 해결 방안(?)해결방안..? 네 없습니다 그런거다음날 지나니까 갑자기 업로드 됐다고 그러더군요..그..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랜만에 돌아온 트러블 슈팅 편입니다..갑자기 Git Merge 를 진행 후 프로젝트를 열었는데... The project ‘[프로젝트명]’ is damaged and cannot be opened due to a parse error. Examine the project file for invalid edits or unresolved source control conflicts. 에러가 나는거에요!! 너무 놀라써요 프로젝트 자체가 안열리다... 하지만 해결책을 찾았습니다!바로 가시죠!1. 프로젝트 파일의 충돌 확인1-1. Finder에서 .xcodeproj 파일 찾기[프로젝트명].xcodeproj 폴더로 이동합니다.내부의 project.pbxpr..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사내 AI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웹 접근성에 대해 공부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바로 예시로 확인해보도록 하죠!상기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푸른색 배경의 "안녕하세요" 는 가독성이 좋아서 보기 편합니다.하지만 노란색 배경의 "안녕하세요" 는 무슨 글자인지 잘 보이지 않는데요. 이렇게 간단하게 색상 만으로 웹 접근성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체크를 했었습니다.다만, 이러한 이미지가 100장...1000장....10000장이라면..?너무나 많은 리소스가 투입될 것이고 작업 효율도 좋지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만약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가진 시스템이 있다면 어떨까요?.?이미지 내의 객체를 찾는다.찾은 객체..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AI에 대해 업무를 진행하면서 웹 접근성에 대해 문의가 들어왔습니다!웹 접근성이 뭘까.. 궁금하던 참에, 이미지에 대한 웹 접근성을 AI를 통해 점검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본격 진행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조건을 두고 진행했습니다!1. 이미지 분석 모델 찾기2. 인터넷 없는 망에서도 동작이 되기 구글링을 진행하다 찾은 모델은 바로 YOLO 모델입니다.해당 모델은손쉽게 모델 다운로드를 통해 이미지 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YOLO 적용법과 간단한 Python 코드를 통한 예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YOLO 적용법가장 첫 번째로 이미지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소스(파일)들에 대해 다운로드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gi..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이전에! MVVM에서의 필수적인 첫 번째 요소인 Command 패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시간에는 두 번째 필수 요소인 Data Bindin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아래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더욱 이해가 쉬울 수 있습니다! [디자인패턴] MVC, MVP, MVVM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바로 오늘의 주제에 대해 아래 대화로 알아보도록 하죠! 👨🏻💼 : 안녕하세요 여러분~ 우리가 유지보수와 개발 효율 상승을 위해beanistory.tistory.com [디자인패턴] 커맨드 패턴 ( Command Pattern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도 역시 학생과 선생님의 대화로 주..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도 역시 학생과 선생님의 대화로 주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비니 학생, 혹시 MVVM 패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해 알고 있나요?🙋🏻♂️ : 흠.. 의존성 해결? 모듈화 구성 가능? 유지보수 최적화? 인가요?👨🏻💼 : 그것도 맞는 말이지만 커맨드 패턴 ( Command Pattern ) 라는 것을 사용하면 더 좋습니다. 오늘은 이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 넵! 넵! 오늘은 커맨드 패턴 ( Command Pattern )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커맨드 패턴이란?사용자가 보낸 요청을 객체의 형태로 캡슐화하는 패턴입니다. 이렇게 요청을 캡슐화 한다면,어떤 작업에 대한 요청들을 객체로 만..
안녕하세요🐶빈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바로 오늘의 주제에 대해 아래 대화로 알아보도록 하죠! 👨🏻💼 : 안녕하세요 여러분~ 우리가 유지보수와 개발 효율 상승을 위해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선생님 안녕하세요! 흠.. 재사용 가능한 코드블럭이라고 생각합니다!👨🏻💼 : 호호 그 말도 맞지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디자인 패턴이라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넵 선생님! (ㅋㅋㅋㅋㅋ) 위에 대화 처럼 오늘은 디자인 패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겁니다!그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MVC, MVP, MVVM 에 대해!1. MVCModel + View + Controller 를 합친 용어1-1. 구조Model : 어플리케이션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