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S📱/Swift16

[ Swift ] KVC(Key-Value-Coding), KVO(Key-Value-Observing)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KVC와 KVO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Objective C를 개발하다가 Swift로 넘어오면 참 편한 부분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 선언 후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접근을 하였던 Objective c면 . ( 닷 ) 을 써서 바로 접근이 가능한 Swift... 물론 해당 변수가 특정 객체임을 선언해야하는건 마찬가지지만요..ㅎㅎ 이처럼 참으로 개발자에게 친절한 Swift에서 오늘 다뤄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KVO : Key-Value-Observing KVC : Key-Value-Coding 단어만 보면 저게 뭐지..? 싶을텐데 의외로 자기도 모르게 쓰고 계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일단 난 안써봄 ㅎㅎ 자.. 2023. 1. 5.
[ Swift ] 서브스크립트 ( Subscript )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서브스크립트 ( Subscript )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클래스, 구조체, 열거형에서의 멤버 요소에 접근하기 위한 바로가기 첨자 아니 이게 무슨 댕댕소리야..? 사실 저희는 개인 및 직장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브스크립트는 아주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ㅎㅎ 다음 간단한 예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Array let testArr = [1, 2, 3, 4, 5] print(testArr[0]) // 1 print(testArr[4]) // 5 이렇게 [ ] 대괄호 안에 index를 넣어줘서 멤버 요소에 접근하는 것을 서브스크립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배열의 [ ] 따라가보면 아래와 같이 정의.. 2022. 12. 30.
[ Swift ] ARC (2) Retain Cycle, 강한참조, 약한참조 그리고 미소유참조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ARC의 두 번째 시간입니다! Retain Cycle과 참조 종류 3가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저번 글에서는 ARC의 기본 개념과 Reference Count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오늘은 ARC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게 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RC의 개념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랫 글을 참고하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Swift ] ARC (1) 기본 개념, Reference Count 이해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ARC의 기본 개념과 Reference Coun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AR.. 2022. 12. 29.
[ Swift ] ARC (1) 기본 개념, Reference Count 이해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ARC의 기본 개념과 Reference Coun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ARC ( Auto Reference Counting ) : 말 그대로 '자동 참조 카운팅' 이다. 즉 효과적으로 메모리 관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앱의 퍼포먼스를 좋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관리가 기본이다. 크게 메모리 라고 하면 Heap 영역, Stack 영역이 있다. 이 중 Stack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다. 👉🏻 Stack 영역은 값 타입이다. ( Type Of Value ) 👉🏻 Stack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가 호출이 되는 순간 POP이 되기 .. 2022. 12. 28.
[ Swift ] COW ( Copy-On-Write )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COW ( Copy-On-Write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COW..? 음머머머머 1. 개요 Swift에서의 메모리 참조에는 크게 값 타입과 참조 타입이 있습니다. 그 중 값 타입의 경우는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파라미터로 전달될 때 값 복사가 이루어집니다. 다만, 이러한 값 복사 작업은 시간이 상당히 걸리기 때문에 해결방안으로 나온 기술이 바로 COW ( Copy-On-Write ) 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실제 사용할 때 복사한다! 라는 의미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예시 2-1. 준비 아래 소스와 같이 주소를 알 수 있는 함수를 정의한 뒤 진행한다. UnsafeRawPointer 란 간단히 말해 객체의.. 2022. 12. 27.
[ Swift ] Class vs Struct 안녕하세요 🐶 빈 지식 채우기의 비니🙋🏻‍♂️ 입니다. 오늘은 Class와 Struct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개요 iOS 개발자로 면접을 준비하다 보면 해당 질문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개발할 때 자주 쓰여도 말로 설명하라고 하면 잘 못하겠어서 이렇게 정보 공유를 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이론적으론 잘 몰랐.. 2. Class 와 Struct Class 와 Struct 는 OOP ( Object-Oriented Programming ) 을 위한 필수 요소로 프로그램의 코드를 추상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2-1. 기본 문법 기본 형태 struct testStruct { // 프로퍼티와 메서드 구현 } class testClass { // 프로퍼티와 메서드.. 2022. 12. 26.
반응형